정보마당/漢詩

등관작루(登鸛雀樓)

등경 2023. 9. 18. 18:14

王之渙(왕지환)-登鸛雀樓(등관작루)(관작루에 올라)

 

白日依山盡(백일의산진) 태양은 산 너머로 지고

 

黃河入海流(황하입해류) 황하는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欲窮千里目(욕궁천리목) 눈 들어 천 리를 바라보려

 

更上一層樓(갱상일층루) 다시 누각을 한 층 더 올라가네

 

*王之渙[왕지환, 688~742. ()는 계릉(季陵)으로 병주(幷州: 지금의 山西省 太原市) 사람]은 한 때 벼슬아치 노릇을 했던 적도 있으나 생애 대부분을 전원에서 살았다. 고적(高適)잠삼(岑參)왕창령(王昌齡)과 시명(詩名)을 나란하였으며 작품의 풍격(風格) 또한 그들과 비슷하고 변새시인(邊塞詩人)으로 알려져 있고,涼州詞(양주사)〉‧〈登鸛雀樓(등관작루)같은 작품은 천고의 절창으로 칭해진다. 아쉽게도 남겨진 작품 대부분이 망실되었다.

 

*위 시는 한문학계의 원로이신 손종섭 선생님의 노래로 읽는 당시와 문학비평가이신 김희보님의 중국의 명시에 실려 있는 것을 옮겨 본 것입니다.

 

*위 시는 관작루에서의 조망인데, 위로는 이글거리던 태양도 이제는 서산마루에 가뭇없이 사라지고 아래로는 멀리 바다로 흘러드는 황하의 장대한 물줄기가 바다를 가르고 끝없이 밀어들고 있다. 2층에서의 조망이 이처럼 장쾌할진대 3층에서는 천리밖 땅 끝까지도 한눈에 탁 트이게 내다보이리라 하여 다시 또 한 층의 층층대를 벅찬 설렘으로 밟아 오르고 있는 것으로, 현재에 만족하지 못하는 인간의 무한욕구의 한 측면이기도 하고, 인간의 본능으로 갖추어져 있는 더 높은 곳으로의 지향성이기도 한데, 그것은 식물의 향일성向日性처럼 일종의 동경이요 그리움이라 합니다. 명심보감, 채근담과 함께 중국 3대 처세 격언서라는 증광현문(增廣賢文)에는 작가의 위 시 일부가 인용된 到此如窮千里目(도차여궁천리목) 여기에 이르러 천 리까지 다 보겠다 여기지만 誰知纔上一層樓(수지재상일층루) 어찌 알리오? 겨우 한층 밖에 오르지 못했음을이라는 내용의 글이 있는데, 자신이 대단하다 여기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겸손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라고 생각됩니다.

 

*형식 : 오언절구(五言絶句)

 

*鸛雀樓(관작루) : ‘鸛雀(관작)’은 큰 물새의 한 종류로 지금의 山西省 永濟縣)(산서성 영제현)의 서남쪽에 위치한 3층 누각, 누각(樓閣)이 황하 지역의 높은 언덕에 있고, 황새가 집을 지었다느니 까치가 집을 집을 지었다느니 한데서 온 이름이라 한다.

 

白日(백일) : 태양

依山盡(의산진) : 산그늘에 가리어 완전히 사라짐

 

청우산방2001 블로그에서 복사

 

---------------------------------------------

 

오늘 한시는 왕지환의 등관작루이다. 이 시는 중국인들이 사랑하는 시라고 한다. 어린 아이들도 다 잘 아는 시라고 한다. 교수님은 아주 쉽게 쓰여져 있어 확실히 외우라고 하신다. 결구의 更上一層樓(갱상일층루) 이 구가 이 시의 백미이다. 여기에서 보다 더 나은 내 인생을 가꾸기 위해 노력하는 향상(向上)의 의지가 주제이다.

일화도 소개한다. 대만 학자들 사이의 논쟁이다. 余光中徐復觀과의 논쟁이다.

또 우리 나라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하고서 받은 선물로 이 시를 받았는데 정작 중국 시진핑 주석이 준 내용은 쏙빠지고 2류 서예가가 낙관을 찍어 주었다고 우리 나라를 무시한 오만한 처사도 곁들이신다.

이 시는 중문과 입학식 때 모 교수님이 이 시를 낭송하였는데 그 때의 그 교수님의 시낭송 소리가 귓전에 맴돈다.

 

2023. 9. 18

 

 

 

 

'정보마당 >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치원 智異山  (0) 2023.12.08
추흥秋興  (1) 2023.12.08
송양씨녀 위응물  (1) 2023.09.11
등고 두보  (0) 2023.09.11
2학기 개강시 장간행(이백)  (0)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