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210

논어4(爲政 4~10)

논어4(爲政 4~10) 지난 시간 한사존성(閑邪存誠) 이란 말을 했는데 부연 설명하겠다.한사존성(閑邪存誠)邪 거짓, 거짓은 존재의 외피를 입고 행사되는 모든 태도, 외피는 겉옷, 우리 존재를 가리는 외피, 예를 들면 사회생활 속에서 주고 받는 각종의 이름들, 명함상의 이름들교수라 한다면 한 인간성으로 보면 형편없어도 교수라는 외피를 입으면 상대방을 지배하고 통제하려고 각가지 거짓된 일을 한다.신동엽 시 최시형 선생의 일, 해월이 김제 어느 집에 들른다. 며느리가 베를 짠다, 며느리도 하느님이다 같이 식사를 하자고 하는 대화 , 시아버지와 며느리 이것도 한 존재의 외피외피를 갖는 한 지배와 복종, 모든 외피는 위험성을 갖는다.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대해 지배하고 통제하려고 한다.誠 진실성 존재의 벌거벗음..

논어 3(11~위정3)

논어 3(11~위정3) 밤과 새벽에 해프닝 같은 뉴스에 대해사람은 초목만도 못하다. 자연은 계절에 따라 온몸으로 순응한다. 朱子의 글 소개주자는 대단한 학자, 유학사상에 커다란 획을 그었다, 사서삼경에 대해 대단한 해석자연 이치에 따라 이치가 결이다. 초목도 그렇다. 생체 리듬이 다 그렇다. 사람만 이치에 거스르다. 憂世之志 세상을 근심하는 뜻樂天之誠 하늘을 즐기는 진정성竝行而不悖 병행하면서 양립 가능하다고봉 기대승과 퇴계 이야기 기대승 퇴계보다 26세 연하조정과 대립하면서 고향 낙향하여 울분을 참지 못하고 술로써 지냄퇴계가 기대승 낙향 매섭게 꾸짖음憂世之志 세상 일을 두고 슬픔에 빠지거나 세상에 냉소적이 되어서는 안됨天 천도를 즐겨야 한다. 섭리, 진리, 하나님의 뜻과 말씀, 낙도해야 한다.도의 세계에..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소감

3학년 2학기 기말고사 소감 나이 들어 시험을 본다는 것은 축복일지 모른다. 시험을 보는 것은 공부를 해야 하기에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다. 공부를 하려면 건강이 따라야 하고 집안 일이든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없어야 맘 편하게 공부할 수 있기에 축복이라 단언코 말하고 싶다.  사람들은 나이 들면 나이 드는 대로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살아야 한다고 한다. 책을 보는 것은 눈도 아프고 스트레스도 받기에 편하게 살 수 있으면 됐지 무슨 미친 짓이냐고 대놓고는 하지 않지만 속으로 비웃을른지 모른다. 그런 비난 감수하고 정년 퇴직후 줄곧 공부를 해오다.  아내의 도움 없이는 가능한 일이 아니기에 지금까지 참아준 아내가 고맙다. 정년까지 남편 뒷바라지 했으니 여행하고 싶을 때 여행하고 어디 편하게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