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학이시습당

전주분원 고적답사

등경 2023. 11. 2. 10:39

 

전주분원(全州分院) 고적답사(古跡踏査)
 
11월 1일은 전주분원 고적답사가 있는 날이다. 그동안 시민강좌를 통해 배운 수강생들이 고적답사를 한다. 고상하게 표현해서 고적답사지 체험학습이다. 체험학습은 그동안 교실에서 이루어진 수업을 밖으로 옮겨 현장에서 그동안 배운 것을 접목해보는 과정이다.
 
8시 반 국립무형유산원 동편 주차장에 집결하다. 나는 서편 주차장으로 갔다가 버스 있는 곳으로 가니 버스 두 대와 많은 수강생들이 나와 있다. 다시 차를 동편 주차장으로 이동하고 버스에 오르다. 전주분원 교직원과 수강생 약 60여명이 체험학습 길에 오르다. 소풍이든 체험학습이든 노소를 막론하고 체험학습은 들뜬 마음이 들기 미련이다. 고적답사를 한다니 다들 즐거운 모양이다.  8시 40분경 충남 예산 땅으로 렛츠고우.
 
맨 처음 도착한 것은 남연군묘다. 11시 반쯤 도착하다. 나는 한 번도 와본 적이 없다. 국사교과서에서 독일 오페르트 일당의 도굴 사건이 기술되어 있다. 해설을 담당하신 김병기 교수님은 대서예가이자 전북대 중문과 명예교수시고 강암 선생의 외손자다.   남연군 묘에 올라봐야 명당임을 안다고 하길래  올라 보니 뒤에 가야산이 병풍처럼 둘러 있고 좌청룡 우백호로 양쪽 날개처럼 산들이 내려와 감싸고 있다. 교수님은 우리 근대사와 대원군의 실정 선정을 곁들여 막힘없이 우리의 역사를 재조명하신다. 모든 참석자들이 귀를 쫑긋 모아 듣는다. 남연군의 묘비에 다가서서 서체와 관련하여 길게 설명하신다. 비석 옆면에 새겨있는 작은 글씨는 대원군의 친필이란다.
나는 이구의 묘에 본관이 완산이씨라 되어 있어 다른 교수님에게 물었다가 나의 무식이 탄로나다. 완산이씨는 전주이씨로 같단다.
 
12시경  남연군 묘를 떠나 수덕사로 가다. 산촌식당에서 산채 비빔밥을 맛있게 먹고 수덕사 관람에 나서다. 이곳은   한두 번 안 온 사람 없다. 오늘 특별한 분이 해설을 하시니 다시 새롭다.
먼저 덕숭산덕숭총림수덕사란 현판부터 시작한다. 5대 총림중 하나란다. 총림은 승원, 강원, 선원 이 있는 곳을 총림이라 한단다.  어느 분이 다시 설명을 부탁하니 좌중이 폭소를 터뜨린다. 德崇山修德寺란 한자 현판은 대단히 잘 쓴 글씨란다.
 
수덕사로 오르는 길에 수정여관과 관련된 일화를 소개하다. 김일엽 스님과 나혜석 화가가 잠시 머물렀던 아야기도 들려주고 독일 유학 이응로 화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본부인과 박인경 화가와의 관계도 자세히 설명한다. 수덕사 본당에 오르다. 현판 글씨와 주련글씨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신다. 수덕사는 원담 스님이 자기 식으로 서에를 배워 수덕사 곳곳에 자기 글씨로 도배를 했다고 한다. 잘 쓴 글씨를 소개하는데 만공 스님의 글씨다. 世界一花다. 이 글씨는 오므라진 무궁화꽃으로 썼다고 한다. 대웅전에 올라 대웅전 벽화를 설명하신다. 유홍준의 책에서도 소개되었다고 하면 벽면이 비례와 색깔 등에 미학적인 해설을 곁들인다.
 
수덕사를 나서 추사고택으로 가다. 추사에 대해 많이 아는 기회를 갖다. 가문 전체부터 아내와 관계 등 아내에게 투정 부린 비하인드 스토리 등 두루두루다. 누에가 실을 뽑듯 맛깔스런  해설이 끝없다. 주련 글씨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다.  중국 서예가 옹방강을 만나는 이야기도 자세히 하다.
 
書勢如孤松一枝, 天下一等人忠孝, 秋水文章不染塵, 春風大雅能容物  등 많은 글씨들이 우리의 눈길을 끈다.
大烹豆腐瓜薑菜(대팽두부과강채) 좋은 반찬은 두부 오이 생강 나물이요, 高會夫妻兒女孫(고회부처아여손) 훌륭한 모임은 부부아와 아들달딸 손자  이란  주련은  내 맘에 더 크게 다가오다.
추사 묘를 거쳐 기념관에 들르다. 세한도, 죽로지실, 무량수각, 판전  등  많은 글씨들에  대한  해설이 이어지다.

하루 해가 짧다. 4시 40분 답사를 마치고 버스에 올라 전주에 7시 도착하다.  고적답사를  가능케 해주신  교수님들과 분원  식구들에게 감사드린다.
 
2023. 11. 1
 

 

 

 

'나의 이야기 > 학이시습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山自無心碧  (0) 2024.06.18
훈몽재  (0) 2023.11.18
또 하나의 졸업식  (0) 2022.02.18
漢詩 줌(zoom) 特講  (0) 2021.12.28
마지막 시험  (0) 2021.12.10